뽕구의 개발일지

[STM32] 개발환경 구축하기 3 - 프로젝트 생성 본문

개발 일지/STM32

[STM32] 개발환경 구축하기 3 - 프로젝트 생성

뽕구 2023. 7. 31. 00:30
728x90
반응형

 

STM32CubeIDE 설치를 마쳤습니다. 설치 후 HelloWorld 프로젝트 빌드까지가 기본적인 개발환경 구축이라 생각합니다.

초기 CubeIDE 사용법은 평소에 자주 보는 오제이 튜브님의 [임베디드 4강] Hello!! GPIO!! 를 보고 한단계씩 진행했습니다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ZJ6RfhuGd0 

 

1. STM32CubeIDE 실행

STM32CubeIDE

 

2. STM32 프로젝트 만들기

File → New →STM32 Project 

STM32 프로젝트 생성

 

3. 타겟 선택

STM32 프로젝트 생성 시 먼저 타겟이 될 MCU 혹은 보드를 선택합니다. 이 부분이 STM계열 사용 시 STM32CubeIDE를 써야하는 이유인것 같습니다. MCU만 검색했는데 시리즈, 코어, 기능, 블럭도, 데이터시트, 검색한 MCU가 들어간 제품화된 보드 등을 한번에 찾아줍니다. 아직 써보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편리함이 느껴지네요.

검색 완료 시 우측 하단에 MCU List가 뜨고, 사용할 MCU를 선택하면 Next가 활성화됩니다.

 

타겟 선택

 

4. 프로젝트 옵션 선택

최종적으로 프로젝트 이름과 옵션을 선택하는 창이 나옵니다. Targeted Language는 C로 할건지 C++로 할건지 선택하는 것이고, Targeted Binary Type은 실행가능한 Excutable를 할건지, 라이브러리만드는 Static Library인지 선택하는 것입니다.

Targeted Project Type은 STM32Cube 기본구성으로 시작할건지 빈 프로젝트로 시작할건지 선택하는 것입니다.

아래 사진이 디폴트 값이어서 따로 바꾸진 않고 Finish 했습니다.

 

 

프로젝트 옵션 선택

 

4-1. 로그인 문제

작성일 기준, 프로젝트 생성 시 아래와 같이 인증 매니저에서 로그인하라고 자꾸 그래서, 가입해버렸습니다. 절차는 프로그램 다운받을때랑 비슷하게 회원가입 후 이메일로 인증 메일 날아옵니다. 귀찮네요..

 

로그인 문제

 

로그인하고 프로젝트를 다시 만드니까 Framework code가 포함되어 있는 Software package가 다운로드되는 과정이 수행되었습니다.!

*Package가 다운로드되는 과정은 인터넷이 꼭 연결되어있어야 합니다!!!

 

Software package 자동 설치

 

5. 프로젝트 생성 완료

이제서야 진짜 환경구축이 다 된 느낌입니다. 몇번이나 프로젝트 삭제하고 다시 만들었는데, 어이없게도 로그인 문제였다ㅠㅠ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초기 구성에 필요한 소스코드들이 자동으로 구성됩니다.

 

프로젝트 생성 완료

 

 

그리고 신기했던 기능 중 하나가 CubeMX인데, CubeMX (.ioc 파일) 에서 MCU 핀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클릭한 핀을 어떤 기능으로 사용할지 선택할 수가 있었습니다. 사용할 기능을 선택하고  "Generate Code" (단축키 Alt+K)를 수행하면 선택한 기능으로 코드가 자동 생성됩니다.

장난 아니네요. 잘 익히면 파워풀하게 개발 가능할 것 같다는 느낌이 직관적으로 들었습니다.

 

 

CubeMX 기능

 

Generate Code

 

추가된 PIN11 코드

 

 

이후 빌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하겠습니다.

728x90
반응형